동국대학교 성폭력
제도적 배신 기록

Gender Watchdog는 동국대학교성폭력 문제, 제도적 은폐, 그리고 공공자금 오용 의혹을 문서화하는 프로젝트입니다. 한국여성정책연구원 보고서를 바탕으로 한 젠더와치독의 분석에 따르면, 동국대학교 영상대학원의 성폭력 위험 점수는 81/100으로 조사 대상 중 가장 높았습니다. 국제 대학 파트너십에서의 Title IX 위반을 조사하고, 성폭력 인식을 제고하며 캠퍼스 내 성폭력 생존자를 지원합니다.

예술교육 여성 취약성에 관한 한국여성정책연구원 통계

한국여성정책연구원(KWDI) 2020년 보고서에서 발췌한 대학 예술계열 성폭력 통계

한국 대학 성폭력 실태

61.5%

예술계열 여학생이 경험하는 성폭력 비율 (한국여성정책연구원)

65.5%

대학 내 성폭력 가해자 중 교수가 차지하는 비율 (KWDI)

81/100

동국대학교 영화 프로그램성폭력 위험 점수 (젠더와치독 분석)

자료 출처: 한국여성정책연구원(KWDI) 2020년 보고서 "미투 이후 대학 문화예술계 성폭력 실태와 정책 과제"

인종차별과 성폭력의 교차점: 외국인 학생 표적화

샤오홍슈 증언을 통해 드러난 한국 대학 내 구조적 인종차별과 성폭력의 연관성

샤오홍슈 목격자 증언: 외국인 학생 표적화의 명확한 증거

교수 차별 경험:

"被东国大老师歧视过🙋"
번역: "동국대 교수에게 차별을 당한 적이 있다." - 小白(Little White) 사용자

외국인 유학생 대상 성폭력:

"上个学期还有个影像大留学生被前辈性骚扰了"
번역: "지난 학기, 영상학과 외국인 유학생이 선배에게 성폭력을 당했다." - 愤怒的土豆汤(Angry Potato Soup) 사용자

이러한 샤오홍슈 증언들은 동국대학교에서 외국인 학생들이 인종차별과 성폭력의 이중 피해를 당하고 있음을 명확히 보여줍니다. 이는 단순한 우연이 아니라 한국의 외국인 혐오와 구조적 인종차별이 외국인 여학생들을 성폭력의 더 취약한 표적으로 만드는 체계적 패턴입니다.

한국의 외국인 혐오 문제: 국제적 관점

코리아헤럴드의 "'It's just subtle, not serious': What Koreans miss when downplaying racism" 기사에 따르면, 한국은 US News & World Report의 "인종 형평성이 가장 나쁜 국가" 조사에서 89개국 중 5위를 기록했습니다.

"외국인이나 인종차별과 관련된 범죄에 대한 통계 데이터가 거의 없고, 인종 혐오 범죄를 처벌할 법적 조항도 없다"
- 명지대 정회옥 교수
"우리는 인종적 증오로 총에 맞거나 칼에 찔리는 나라들과 비교하며 '여기는 그 정도로 나쁘지 않다'고 말한다. 하지만 일상적인 차별과 증오가 지속되는 것은 보지 못한다"
- 성공회대 박경태 교수

이러한 구조적 문제와 인종차별 최소화 패턴은 외국인 여학생들이 성폭력을 당해도 적절한 법적 보호나 사회적 관심을 받지 못하는 환경을 조성합니다.

구조적 취약성의 원인:

  • 비자 의존성: 학업 보복에 대한 두려움으로 신고를 주저하게 됨
  • 언어적 장벽: 효과적인 신고와 지원 체계 접근 제한
  • 사회적 고립: 보호 네트워크와 신뢰할 수 있는 멘토 부족
  • 인종적 성적 대상화: 외국인 여성에 대한 유해한 고정관념
  • 제도적 무관심: 외국인 학생 보호보다 등록 숫자에만 집중

시급한 제도적 개혁 필요

한국 대학들이 2027년까지 30만 명의 외국인 학생 유치를 목표로 하는 상황에서, 구조적 인종차별과 성폭력 위험을 해결하지 않는다면:

  • 국제적 평판 손상
  • Title IX 준수 문제로 인한 미국 대학과의 파트너십 해제
  • 외국인 학생 유치 목표 달성 실패
  • 한국의 글로벌 교육 허브 야망 좌절
핵심 메시지: 인종차별과 성폭력은 개별 사건이 아니라 상호 강화하는 구조적 문제입니다.

새 정부는 한국 대학이 모든 학생—국적에 관계없이—에게 안전한 교육 환경을 제공하도록 보장해야 합니다.

영상 증거 자료

동국대학교의 성폭력 은폐, 허위 파트너십, 공공자금 오용 의혹에 관한 젠더와치독의 심층 조사 영상

[긴급] 허위 파트너십과 납세자 사기 의혹

동국대학교가 주장하는 381개의 국제 파트너십 중 적어도 하나의 캐나다 대학교가 직접 연락을 받고 파트너십을 공식 부인했습니다. 이는 파트너십 주장의 정확성과 정부 지원금 오용 가능성에 대한 심각한 의문을 제기합니다.

긴급 허위 파트너십 공공자금 오용

[업데이트] 영화과 성폭력 구조적 위험요소

젠더와치독이 한국여성정책연구원 보고서를 바탕으로 분석한 동국대학교 영화 프로그램의 성폭력 위험 점수 81/100. 전원 남성 교수진 구성과 Title IX 위반 위험을 분석합니다.

업데이트 성폭력 위험 Title IX

[긴급] KWDI 보고서: 10년간의 방치 사례

한국여성정책연구원의 2020년 보고서를 바탕으로 미투 운동 이후 예술 교육에서의 성폭력 실태와 동국대학교의 10년간 방치 사례(2016-2025)를 분석합니다.

긴급 KWDI 보고서 제도적 방치

영상 시청 안내

위 영상들은 한국여성정책연구원(KWDI) 보고서, 정부 공개 자료, 대학 공식 웹사이트 등 신뢰할 수 있는 1차 자료를 바탕으로 제작되었습니다.

젠더와치독 유튜브 채널: youtube.com/@GenderWatchdog 에서 추가 영상과 업데이트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동국대학교에서 확인된 주요 문제점

성폭력 위험이 높은 영화 프로그램

동국대학교 영상대학원은 한국여성정책연구원 보고서를 바탕으로 한 젠더와치독의 분석에서 성폭력 위험 점수가 가장 높은(81/100) 곳으로 평가받았습니다. 이 대학원은 전원 남성 교수진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또한 이 대학원은 한국 5대 영화 제작사 중 하나인 싸이더스픽쳐스가 위치한 '충무로영상센터' 건물에 있어, 업계와 학계 간의 경계를 모호하게 하고 학생들과 젊은 전문가들의 성폭력 위험을 증가시킵니다.

더 알아보기: 영화 프로그램 위험성 분석

여학생회 해체

동국대학교는 2018년 한국 미투 운동이 최고조에 달했을 때 여학생회를 해체했습니다. 이는 학내 성폭력 피해자들의 목소리를 약화시키는 조치였습니다.

더 알아보기: 미투 운동과 대학 대응

성폭력 사건 처리 태만

2016년 사례에서 동국대학교는 검찰로부터 성폭력 사건에 대해 통보받은 후 6개월 동안 아무런 조치를 취하지 않았습니다. 이는 심각한 제도적 실패를 보여주는 사례입니다.

더 알아보기: 사건 처리 실패 분석

국제 파트너십 위조

동국대학교가 주장하는 381개의 국제 파트너십 중 적어도 하나의 캐나다 대학교가 파트너십을 공식 부인했습니다. 이는 파트너십 주장의 정확성과 정부 지원금 오용 가능성에 대한 심각한 의문을 제기합니다.

더 알아보기: 허위 파트너십 증거

불교대학의 세 가지 배신

동국대학교는 대한불교조계종에 소속된 불교대학으로서 "정직(正直), 자비(慈悲), 진리(眞理)" 등의 불교적 가치를 교육 이념으로 표방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실제 행동은 이러한 이념과 정면으로 충돌합니다.

불교 이념을 배반하는 세 가지 행위

법적 배신: 허위 보고를 통한 정부 지원금 수령

동국대학교는 국제 파트너십을 위조하여 정부 지원금을 받은 의혹이 있습니다. 이는 한국 납세자의 세금에 대한 의심스러운 사기 행위입니다.

윤리적 배신: 성폭력 은폐 및 공모

동국대학교는 성폭력 사건 처리를 소홀히 하고, 피해자보다 대학의 평판을 우선시했습니다. 이는 사회적 신뢰의 완전한 상실을 의미합니다.

종교적 배신: 불교 정신의 간판을 내걸고 불법 행위

불교의 '정직', '자비', '진리'라는 가치를 내세우면서 이에 반하는 행위를 하는 것은 종교 윤리의 근본적인 위반입니다.

"동국대학교가 불교대학으로서 국민적 신뢰를 얻고 있는 위치에 있으면서도 파트너십을 위조하고 정부 자금을 수령했다면, 이는 종교를 이용하여 국민을 속인 중대한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구조는 단순히 한 대학의 문제가 아니라 한국 사회 전체의 교육, 종교, 정치적 신뢰 기반을 흔들 수 있는 스캔들이 될 수 있습니다."

젠더와치독 분석 보고서 (2025년)
동국대학교의 불교 이념 배신: 법적, 윤리적, 종교적 배신의 도해

동국대학교의 불교 이념에 대한 세 가지 배신: 법적 배신(의혹된 세금 사기), 윤리적 배신(성폭력 은폐), 종교적 배신(불교 가치 기만)

국제교육품질인증(IEQAS)의 심각한 모순

한국 정부의 IEQAS 인증은 국제 학생들에게 안전하고 윤리적인 교육 환경을 약속하지만, 우리의 조사는 이 시스템이 근본적으로 손상되었음을 보여줍니다.

핵심 질문: 어떻게 한국 정부가 한국여성정책연구원(KWDI) 데이터에서 예술계 여학생의 61.5%가 성폭력 피해자라는 것을 알면서도 대학들에 IEQAS 인증을 부여할 수 있는가?

최근 인증 타임라인

2025년 1월 20일: 동국대학교 IEQAS 인증 획득

2025년 3월: 인증 활성화

2025년 4월 10일: 위조된 파트너십 증거 정부에 제출

2025년 5월 12일: 32일 후에도 정부 응답 없음

검증 없는 인증

동국대학교는 다음과 같은 상황에도 불구하고 2025년 1월 IEQAS 인증을 받았습니다:

  • 성폭력 위험 점수가 가장 높은(81/100) 영화 프로그램 운영
  • 동국대학교가 주장하는 381개의 국제 파트너십 중 적어도 하나의 캐나다 대학교가 공식적으로 파트너십을 부인
  • 성폭력 사건 처리에 있어 문서화된 태만

한국 정부는 인증 전 파트너십 주장을 감사하거나 성폭력 우려를 해결하지 못했으며, 이는 체계적인 감독 실패를 시사합니다.

"2027년까지 30만 명" 목표의 압박

한국 정부의 2027년까지 30만 명의 국제 학생 유치 목표(현재 약 20만 명 조금 넘는)는 다음과 같은 위험한 인센티브를 만들어냅니다:

  • 준수 여부와 관계없이 IEQAS 인증 유지
  • 입학 목표 달성을 위해 심각한 안전 위험 간과
  • 국제 교육의 질보다 양 우선시
"정부는 오직 숫자에만 집중하고 있습니다... 이것은 산업적 관점이지 교육적 관점이 아닙니다." - 중앙대학교 Jun Hyun Hong 교수, 정부 자문위원

정부의 체계적 무대응

2025년 4월 10일, 위조된 파트너십에 대한 결정적 증거가 다음을 포함한 7개 한국 정부 감독 기관에 제출되었습니다:

  • 교육부
  • 한국연구재단
  • 한국대학교육협의회

2025년 5월 12일 현재 32일이 지났지만, 후속 요청에도 불구하고 7개 기관 모두 완전한 침묵을 유지하고 있으며, 이는 감독보다는 기관 보호를 시사합니다.

보호 없는 한류(K-Wave) 활용

한국은 글로벌 문화 수출(한류/K-Wave)을 활용해 국제 학생들을 유치하면서도, 다른 주요 교육 목적지에 준하는 안전 기준을 구현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 K-인플루언서 프로그램은 매년 약 2,000명의 크리에이터를 모집해 한국 문화 홍보
  • 넷플릭스는 4년간 한국 콘텐츠에 25억 달러 투자
  • 문화 홍보는 이상적인 인식을 만들어내는 반면, 기관의 안전 문제는 해결되지 않은 채 남아있음

이는 국제 학생들에게 마케팅된 이미지와 캠퍼스 현실 사이에 위험한 괴리를 만들어냅니다.

성폭력 이해와 대응

동국대학교가 제공하는 성폭력 인식 테스트성폭력에 관한 유해한 신화를 영속화하고 있습니다. 우리는 증거 기반의 정확한 성폭력 예방 및 생존자 지원 교육을 제공합니다.

주의: 동국대학교의 "성폭력 인식"이라는 오해의 소지가 있는 용어는 한국여성정책연구원(KWDI)이 2020년 보고서에서 명확하게 성폭력으로 정의한 문제를 약화시킵니다.

진정한 성폭력 인식이란?

  • 동의에 기반한 관계의 중요성
  • 피해자 비난 문화 인식하기
  • 성폭력 신화 바로잡기
  • 권력 불균형 이해하기

자원 및 지원

EROC 생존자 공간 KWDI 보고서 2020 미투 이후 대학 문화예술계 성폭력 실태와 정책 과제

동국대 성폭력 인식 테스트의 문제점

"성추행 사건이 발생했을 때, 노출이 심한 옷을 입은 상대방도 책임이 있다"

이러한 문항은 피해자에게 책임을 전가하는 잘못된 관점을 강화합니다.

"성적 제안을 했을 때 침묵한다는 것은 그 제안을 받아들인다는 의미이다"

침묵은 동의가 아닙니다. 이는 분명한 동의의 중요성을 무시합니다.

"성적 제안에 여자가 '싫다'라고 하는 것은, 사실은 속으로는 좋으면서 튕기는 것이다"

이는 '아니오'가 '예'를 의미한다는 위험한 오해를 퍼뜨립니다.

형식적인 진보주의: 이러한 유해한 진술에 모두 "아니다"라고 대답하면 "건강한 성폭력 인식을 가졌네요"라는 최고 점수를 받게 됩니다. 이 표면적인 온라인 테스트는 대학이 성 문제에 관심이 있는 것처럼 보이게 하면서 실제 기록된 제도적 실패에 대한 책임은 회피합니다.

성폭력 인식 테스트 vs. 실제 행동

동국대학교는 영화 프로그램에서 높은 성폭력 위험 점수(81/100)를 보이면서도, 학생들에게 단순한 테스트를 제공하는 이중적인 태도를 보여줍니다. 이는 실질적인 예방과 대응 없이 표면적으로만 성폭력 인식을 다루는 전형적인 사례입니다.

성폭력 용어 이해하기

한국여성정책연구원(KWDI)의 2020년 보고서는 모든 관련 행위를 성폭력으로 명확히 분류했습니다. 약화된 용어 사용은 문제의 심각성을 축소시킵니다.

성폭력 용어 스펙트럼

동국대학교는 종종 다음과 같은 약화된 용어를 사용합니다:

성희롱 (Sexual Harassment)

약화된 용어

성적 발언, 제안, 불쾌한 행동을 포함하지만, 한국여성정책연구원은 이러한 행위도 성폭력의 범주에 포함시켰습니다.

이 용어는 문제의 심각성을 축소시킵니다.

성범죄 (Sexual Misconduct)

약화된 용어

법적 책임을 회피하기 위해 기관이 자주 사용하는 용어로, 본질적으로는 성폭력과 동일합니다.

이 용어는 가해행위를 '실수' 정도로 표현하여 심각성을 축소합니다.

성폭력 (Sexual Violence)

KWDI 권장 용어

한국여성정책연구원이 2020년 보고서에서 사용한 공식 용어로, 성추행, 성희롱, 성범죄를 모두 포함하는 포괄적 개념입니다.

이 용어는 행위의 심각성과 폭력적 특성을 정확히 전달합니다.

KWDI 권고사항

"대학 문화예술계 내 발생하는 모든 형태의 성적 침해 행위는 그 심각성과 영향을 고려하여 성폭력으로 명명해야 합니다. 이는 단순한 '성희롱'이나 '젠더 불평등'이 아닌, 심각한 폭력 행위로 인식되어야 합니다."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20년 보고서의 주요 내용을 바탕으로 한 요약)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20년 보고서 "미투 이후 대학 문화예술계 성폭력 실태와 정책 과제"

정확한 용어 사용의 중요성

  • 피해자 경험의 심각성 인정
  • 제도적 책임 회피 방지
  • 문제 해결을 위한 적절한 자원 할당
  • 사회적 인식 변화 촉구
검색어와 용어 관계: 많은 피해자와 학생들이 "성희롱", "성추행" 또는 "성범죄"와 같은 용어로 검색하지만, 한국여성정책연구원의 연구에 따르면 이 모든 행위는 성폭력으로 분류됩니다. 우리는 이러한 용어들이 모두 심각한 성폭력의 형태임을 명확히 합니다.

자주 묻는 질문 (FAQ)

성폭력 인식은 성별에 따른 차별, 고정관념, 불평등을 인식하고 이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능력입니다. 진정한 성폭력 인식은 다음을 포함합니다:

  • 동의에 기반한 관계의 중요성 이해
  • 성폭력 피해자 비난 문화 인식
  • 성별 고정관념과 성폭력 신화 바로잡기
  • 권력 불균형 이해와 이를 통한 성폭력 예방

표면적인 테스트가 아닌 실질적인 교육과 제도 개선이 필요합니다.

젠더와치독이 한국여성정책연구원(KWDI)의 2020년 연구를 바탕으로 분석한 결과, 동국대학교 영상대학원의 성폭력 위험 점수는 81/100입니다. 이는 조사된 대학 프로그램 중 가장 높은 위험 점수로, 매우 심각한 수준입니다.

이러한 높은 점수는 다음과 같은 요인에 기인합니다:

  • 영상대학원의 전원 남성 교수진 구성
  • 성폭력 사건 처리에 있어 문서화된 태만
  • 여학생회 해체를 통한 학내 옹호 기구 약화
  • 효과적인 성폭력 예방 및 대응 체계 부재

KWDI 보고서에서 전체 분석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즉시 안전 확보: 위험한 상황이면 경찰(112) 또는 응급실(119)에 신고하세요. 증거 보존을 위해 의료진 진료 전에는 옷을 갈아입거나 씻지 마세요.

대학 내 성폭력 사건을 신고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교내 인권센터 또는 성폭력 상담소 접촉 - 대부분의 대학은 성폭력 신고를 받는 전담 기관이 있습니다.
  2. 경찰 신고 - 112에 신고하세요. 동성 경찰관의 조사를 요청할 수 있고, 경찰 조서 작성을 요구하며 영어 번역본을 요청할 수 있습니다.
  3. 해바라기센터(성폭력 전문기관) - 전국 39개 센터에서 종합적 지원 제공:
    • 서울해바라기센터: 02-3672-0365, 02-3672-1117 (영어 상담 월-화 가능)
    • 무료 의료검진, 상담, 법률 지원, 증거 수집
    • 24시간 운영, 동반자 동행 가능
  4. 대사관 지원 - 외국인 학생의 경우:
    • 영국 대사관 서울: +82 (0)2 3210 5500
    • 미국 대사관 서울: 영사 서비스 연락
    • 대사관 직원이 지원, 추천, 시설 동행 제공
중요: 수사를 원한다면 한국을 떠나기 전에 신고하는 것을 강력히 권장합니다. 수사 중에 여권을 제출할 필요는 없습니다.

한국에서 성폭력 생존자가 이용할 수 있는 종합적인 지원 자원:

24시간 긴급 핫라인
  • 경찰 응급: 112
  • 다누리 콜센터 (다국어): 1577-1366
  • 한국성폭력상담소: 02-338-5801
  • 한국여성의전화: 02-3156-9900
의료 및 법의학 지원
  • 해바라기센터: 전국 39개 센터, 병원 내 위치
  • 무료 법의학 검사, 성병 검사, HIV 예방약(72시간 내), 응급피임약
  • 종합 서비스: 의료진료, 상담, 법률 지원, 증거 수집
  • 서울 주요센터: 02-3672-0365 (영어 월-화, 사전 연락 필요)
법률 및 정부 지원
  • 여성가족부: 02-2100-6000
  • 국선변호인 이용 가능; 사선변호인 선임도 가능
  • 유죄 판결 후 민사소송을 통한 손해배상 청구 가능
외국인 학생 자원
  • 영국 대사관 서울: +82 (0)2 3210 5500 (24시간 영사 지원)
  • 미국 대사관 서울: 미국 시민을 위한 영사 서비스
  • 대사관 지원: 의료 추천, 가족 연락, 여행 준비
온라인 자원
기억하세요: 경찰에 신고하지 않기로 선택하더라도 해바라기센터에서 의료, 법률, 상담 서비스를 받을 수 있습니다. 신고 여부와 관계없이 지원이 제공됩니다.
공식 대사관 자료

동국대학교의 성폭력 인식 테스트는 다음과 같은 심각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1. 피해자 비난 조장: "노출이 심한 옷을 입은 상대방도 책임이 있다"와 같은 문항은 피해자 비난 문화를 강화합니다.
  2. 동의에 대한 오해: "침묵이 동의를 의미한다"는 주장은 명시적 동의의 중요성을 무시합니다.
  3. 성폭력 신화 영속화: "'싫다'는 것이 실은 좋다는 의미"와 같은 유해한 신화를 테스트 형식으로 반복합니다.
  4. 형식적인 접근: 단순히 테스트를 통과하는 것이 실질적인 인식 개선이나 제도 변화로 이어지지 않습니다.
  5. 용어의 왜곡: "성폭력 인식"이라는 용어를 사용함으로써 KWDI가 명확히 '성폭력'으로 정의한 심각한 문제를 희석시킵니다.

이러한 테스트는 대학이 성폭력 문제에 관심이 있는 척하면서 실제로는 기록된 제도적 실패에 대한 책임을 회피하는 형식적인 진보주의의 예입니다.

한국여성정책연구원(KWDI)의 2020년 보고서에 따르면, 이 용어들 사이에는 중요한 관계가 있습니다:

  • 성희롱 (Sexual Harassment): 성적 발언, 제안, 불쾌한 행동 등을 포함하지만, 이는 단순한 '불편함'이 아닌 성폭력의 한 형태입니다.
  • 성추행 (Sexual Molestation): 원치 않는 신체적 접촉을 포함하며, 이 역시 명백한 성폭력입니다.
  • 성범죄 (Sexual Misconduct): 법적 책임을 회피하기 위해 기관이 사용하는 완화된 용어로, 본질적으로는 성폭력입니다.

KWDI는 대학 환경에서 발생하는 모든 이러한 행위를 성폭력(Sexual Violence)으로 통합하여 분류합니다. 이는 용어를 약화시켜 문제의 심각성을 축소하는 기관의 관행에 대응하기 위한 것입니다.

대학에서 '성희롱'으로 분류되는 많은 사건들이 실제로는 심각한 성폭력 행위이며, 피해자에게 중대한 트라우마를 남길 수 있습니다. 정확한 용어 사용은 피해자 경험의 심각성을 인정하고 적절한 지원과 해결책을 찾는 데 필수적입니다.

Title IX는 미국의 획기적인 연방법으로, 다음과 같이 명시하고 있습니다: "미국 내 어떤 사람도 성별을 이유로 연방 재정 지원을 받는 교육 프로그램이나 활동에서 참여 배제, 혜택 거부, 또는 차별을 받지 않아야 한다."

Title IX는 스포츠에서의 성별 형평성에 초점을 맞춘 법안으로 시작되었지만, 그 범위는 교육 환경에서의 성희롱, 성폭력, 성별 기반 차별을 다루는 것으로 크게 확대되었습니다.

Title IX가 국제 파트너십에 미치는 중요한 영향:

  • 법적 책임 확장: 미국 대학들은 국제 파트너들이 성폭력 예방 및 대응에 관한 비슷한 수준의 기준을 유지하도록 보장할 법적 의무가 있습니다.
  • 실사 요구사항: 미국 기관들은 해외 유학 환경과 파트너 기관의 안전에 관한 실사를 수행해야 합니다.
  • 파트너십 위험: 성폭력에 대한 구조적 위험이 문서화된 대학은 미국 기관과의 파트너십 종료에 직면할 수 있습니다.
  • 교수진 성별 균형: 상당한 성별 불균형(예: 전원 남성 교수진)은 Title IX 우려를 나타낼 수 있습니다.

Title IX의 국제적 영향에 대한 인식이 높아짐에 따라, 전 세계 대학들은 성폭력 예방 메커니즘에 관한 더 많은 조사를 받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러한 우려 사항을 사전에 해결하는 기관은 미국 대학과의 지속 가능한 파트너십을 위한 더 나은 위치를 확보할 수 있을 것입니다.

링크 및 자료

지원 및 제휴

"젠더와치독은 End Rape On Campus (@EndRapeOnCampus)로부터 동국대학교의 성폭력 은폐 문제를 공개하는 데 지원을 받게 되어 영광입니다. EROC가 우리의 노력을 확대하고, 연대를 제공하며, 옹호 활동에 조언해 주신 것에 감사드립니다."